11·3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전매제한 기간과 청약 1순위 자격 요건이 강화된 뒤로 주택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 국채금리까지 치솟자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압박도 커졌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고채 10년물 금리의 경우 이달 초까지만 해도 1.73%를 기록했는데, 16일 2.084%까지 올랐다. 국고채 3년물도 마찬가지. 같은 기간 1.451%에서 1.689%까지 금리가 치솟았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은행 자금조달비용이 늘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르게 된다.

실제로 최근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최고 5%를 넘어선 곳까지 나왔다. KEB하나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5년 고정)는 15일 기준으로 최고 5%를 넘어섰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모두 최대 4% 중후반까지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올랐다.

 

11·3 부동산 대책과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주택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식고 있다. /조선일보 DB

부동산 시장 분위기도 11·3 대책 전과 비교해 빠르게 식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5~11일)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값은 0.08% 하락했고, 서울 전체 아파트 값은 0.06% 상승하는데 그쳤다. 특히 11·3 대책의 타깃 지역에 포함된 강동(-0.13%)과 강남구(-0.03%)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김은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당분간 아파트 시장은 불확실성 확대로 관망세가 더 짙어질 전망”이라며 “11·3 대책이 시작됐고, 11월은 계절적 비수기로 접어드는 시점인 데다, 예상하지 못했던 미 대통령 트럼프 당선까지 불확실성을 키워 수요 위축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주택시장에 ‘이중고’가 겹치면서 주택 수요자들도 섣불리 내 집 마련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신규 주택을 분양받는 경우 그나마 집단대출에 기댈 수 있어 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이 당장은 크지 않지만, 기존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 불과 몇 달 사이에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 섣불리 빚을 지고 집을 사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연말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커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코노미스트 5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96.5%라고 보도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의 시장금리와 대출금리도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 결국 가계 빚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시장 분위기가 걷잡을 수 없이 움츠러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오르지 않아도, 시장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영향을 받게 된다”며 “어쨌든 부동산 시장은 금융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며, 레버리지(차입)가 부동산 수익률을 좌우하기 때문에 시장금리가 오르면 부동산 수요자들이 위축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그는 “보통 투자 상품일수록 레버리지 비율이 높은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 재건축 아파트나 수익형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고, 실수요자라고 하더라도 대출을 많이 끌어다 쓴 사람은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진혁 기자 kinoeye@chosunbiz.com]



chosunbiz.c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366&aid=0000349625

블로그 이미지

산속여행자TV

부동산 매매전세시세 및 실거래가 가장 중요한 지역분석을 공부하고자 함

,